
오늘은 형상관리 도구 중 하나인 깃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형상관리란 ? 소프트웨어의 변경사항 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갑자기 작업하다가 작업 내용물이 손실된다거나, 복잡한 코딩과정에서 일부 시점으로 되돌리고 싶으신 적 없으신가요 ? 앞으로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정말 백업의 소중함을 느끼게 되실텐데요. (백업을 안해서..눈물흘린 적이 한두번이 아닙니다ㅠㅠㅠ) 또한 우리가 개발을 완료하고 배포하는 과정에서도 버전관리가 상당히 중요한데, 이를 쉽게 도와주는 것이 바로 깃(GIT) 입니다. 깃(Git)이란 ? 형상관리 도구 중 하나로써, 버전 관리 시스템이라고도 부른다. Git 은 소스코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무료 공개소프트웨어 이다. 저는 개인적으로 프로젝트(포트폴리..

안녕하세요 설치포스팅 장인입니다.ㅋㅋㅋㅋ 오늘은 스프링 환경 구축에 대해서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예전에 포스팅 했던 글은 사실 교육받을 때라서 깔끔하게 포스팅 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스프링 프레임 워크 개발 환경 구축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1. 이클립스에 STS 환경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방법 2. STS 환경에 맞는 플러그인들이 통합된 툴 다운방법 사실 뭐가 좋은지 저도 찾아봤습니다. 서로의 장단점을 간략하게 말씀 드리면서 원하시는 방향으로 설치를 진행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큰 차이 없습니다. ) 이클립스(Eclipse)에 STS를 설치하는 것에 대한 장점 첫째, 별도의 툴을 다운받을 필요가 없다. ( Eclipse 안의 Marketplace를 이용하기 때문에 ) 둘째, 본인이..

오늘 포스팅에서는 트리거에 대한 기초를 간단한 예제를 통해 이해하도록 해보겠습니다. 트리거에 대한 깊은 내용은 추후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트리거(TRIGGER) 테이블에 대한 이벤트에 반응해 자동으로 실행 되는 작업을 의미한다. 조금 더 이해를 돕기 위해,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리거란 녀석은 테이블에 INSERT 나 UPDATE 또는 DELETE 작업이 발생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코드를 말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자동으로 실행 된다는 것입니다. 더 쉬운 이해를 위해 예 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학부사이트라고 가정해보도록 하죠. 학교에는 학생이라는 데이터가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 학생은 학교가 마음에 들지 않아 그만두게 되는 경우가 생길 겁니다. (너무 극단적인가요 ?ㅎㅎ...) 그렇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