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rjjKw/btqGzXonrGA/QKf0HS2PhLqDykN7la9Ft0/img.gif)
알고리즘을 처음 시작하는 단계라면 가장 자주 접할 수 있는 문제 중 하나가 "정렬(Sort)" 일 것입니다. 왜 정렬이 자주 나오고 질문되는 것일까요 ? 그 이유는 정렬을 하는 방법이 매우 다양하고, 이를 비교하여 알고리즘의 효율성 차이를 잘 나타내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빈번하게 나오는 몇몇 정렬 알고리즘에 대한 비교를 순차적으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가장 첫번째로 알아볼 버블 정렬(Bubble Sort)의 기본 개념부터 다루도록 하죠 버블 정렬(Bubble Sort) 버블 정렬(Bubble Sort)은 두 인접한 원소를 검사하여 정렬하는 방법이다. 시간 복잡도가 O(n2)로 상당히 느리지만, 코드가 단순하기 때문에 자주 사용된다. 원소의 이동이 거품이 수면으로 올라오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TOkS/btqGsnHkZ4a/kbhtuAY7fDoPaLzqCMw4l0/img.png)
제목이 제일 고민 많이했.. 지난 포스팅에서 재귀함수에 대해 간단한 예제인 팩토리얼을 통해 알아보았습니다. 혹시나 재귀에 대해 처음 접근하신다면, 우선 팩토리얼 포스팅부터 보고 오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귀함수의 또 다른 대표예제인 피보나치(Fibonacci)수열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피보나치(Fibonacci)란? 피보나치를 *위키백과를 참조 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및 둘째 항이 1이며 그 뒤의 모든 항은 바로 앞 두 항의 합인 수열 이다. 처음 여섯 항은 각각 1, 1, 2, 3, 5, 8이다. 편의상 0번째 항을 0으로 두기도 한다. 다음과 같은 그림을 보여준 이유는 실제로 문제에서 적용될 수 있는 타일 문제를 이해하기 좋다. 즉 피보나치 수열이 1,1,2,3,5,8,..
https://colorscripter.com/ Color Scripter Simple & Flexible Syntax HighLighter colorscripter.com 사용방법 원하는 언어 / 설정을 한 후 오른쪽 맨 아래 클립보드 복사 클릭 티스토리 포스팅 할 경우 > HTML 모드 > 복사한 내용 붙여넣기 SyntaxHighligher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건 약간의 설치가 필요함. 개인적으로는 위에 사이트가 편해서 그냥 위에꺼 쓴다.